인도의 문화를 알아보면서 금융지식도 함께 공부해봅시다. 우리가 돈을 벌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소비를 조절해서 돈을 버는 것입니다. 처음으로 소비를 조절하는 것을 소개한 이유가 있습니다. 직업으로 돈을 버는 것도 중요하고, 투자로 막대한 이익을 얻는 것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게 바로 소비입니다. 자신에게 맞는 소비 습관을 지닐 필요가 있을뿐더러 낭비하는 습관을 조심해야 합니다. 지금 상태의 수입을 바탕으로 막대한 소비를 하고 있다면 미래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경제 활동에서 공격도 중요하지만, 수비 또한 무시하지 못합니다. 두 번째는 직업을 통해 돈을 버는 것입니다. 서울에 사는 A는 연봉이 3천만 원인 회사에 다니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A는 자산의 금액이 30억이고 금리가 1%인 것과 같습니다. 지속적인 수입을 위해 꾸준한 건강 관리는 필수입니다. 세 번째는 투자로 이익을 얻어 돈을 버는 것입니다. 직업을 통해 돈을 버는 것도 중요하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투자도 필수적입니다. 해마다 한국 기업의 시가총액은 상승하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 떨어질 수도 있지만 장기적으로 오르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우리가 일할 수 있는 기간은 정해져 있고 삶을 살아가면서 계획된 일대로 살아갈 순 없기 때문에 투자는 정말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과연 어느 정도의 비율이 적절한 가계부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미국에 파산법 전문가인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은 50:30:20 법칙을 주장하였습니다. 자신이 살아가면서 반드시 지출해야 하는 비용을 50%로 합니다. 자신이 원하는 곳에 지출하는 비용을 30%로 합니다. 마지막으로 저축 및 투자에 지출하는 비용을 20%로 해야 합니다. 사람을 알려면 그의 쾌락과 불평 그리고 지갑을 보라라는 말이 있습니다. 한 달에 저축하는 비용을 정해놓는다고 뭐가 달라지겠냐는 생각을 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생각한다면 후회 없는 선택이라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인도로 다시 돌아가 보겠습니다. 소가 가장 살고 싶은 나라를 꼽는다면 인도를 선택할 겁니다. 인도에서 소는 때때로 인간보다 좋은 대우를 받기도 합니다. 그 이유는 소의 몸에 다양한 신이 깃들여 있기 때문입니다. 소 중에서 특히 흰 소가 가장 좋다고 합니다. 전생에 착한 일을 많이 한 사람이 흰 소로 환생한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종교적인 이유도 존재합니다. 소의 배설물이 사람에게 좋다고 믿어 만지기도 합니다. 실제로 소는 농사를 도와주고, 먹거리를 제공하는 것처럼 이로운 존재임이 확실합니다. 인도는 가정집에 보통 화장실이 없다고 합니다. 소의 배설물과 달리 사람의 배설물은 몹시 더럽다고 여깁니다. 그래서 화장실이 없는 집은 노상에서 배변을 처리해 전염병이 돌기도 했습니다. 이에 인도 정부는 가정집에 화장실을 설치하는 대대적인 운동을 시작해 현재는 많은 가정집에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직 습관이 남아있는 인도인들은 화장실을 사용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인도는 신에게 두 가지의 선물을 받았습니다. 첫 번째는 드넓은 평야 지대와 비옥한 토양입니다. 두 번째는 오랫동안 내리는 장마입니다. 인도 경제의 20%가 농업인 만큼 농사가 정말 중요합니다. 위 두 가지 이유를 바탕으로 다양한 종류의 농작물을 재배하고 판매합니다. 하지만 인도의 농부들은 신용도가 굉장히 낮다고 합니다. 농사하는데 장마의 영향을 받아 경제적 안정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인도의 농부들은 대출이 어렵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나온 방법이 골드론입니다. 인도에서 많이 사용되는 금을 담보로 돈을 빌려주는 것입니다. 일반 인도 신용 대출금리는 70%이지만, 골드론의 경우는 12~24%입니다. 인도 사람들은 금을 소중히 생각하기 때문에 연체율이 1%라고 합니다. 또한 채권을 담보로 돈을 빌리는 RP 거래가 있습니다. 채권 펀드 매니저가 돈을 버는 상황을 설명하겠습니다. 펀드 매니저는 총 100억을 모아 투자하게 됩니다. 먼저 모인 100억으로 금리 3%인 채권을 구매합니다. 그렇다면 만기금액은 103억이 될 것입니다. 여기서 한 단계 더 나아가 구매한 채권을 담보로 돈을 빌려 채권을 한 번 더 구매합니다. 이렇게 진행하면 채권과 같은 좋은 담보로 빌린 대출의 금리가 구매한 채권의 금리보다 낮으므로 처음 103억보다 큰 금액을 만들 수 있습니다. 공모 펀드의 경우 투자자의 위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사모 펀드보다 RP가 낮습니다. 금융권에서 자신이 평소에는 소유하지 못하는 큰돈을 이용해 투자하는 방법을 레버리지(Leverage) 투자라고 합니다. 큰 금액으로 투자하면 이익도 그만큼 커져 자신이 실제로 소유한 자산에 비해 큰 이익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인도는 현재 성장 중인 국가입니다. 예전부터 존재했고 현재도 존재하는 카스트 제도가 남아있지만, 국가가 발전하고 도시화가 더욱 진행된다면 사라질 것입니다. 태어날 때부터 정해진 직업과 계급을 갖고 살아간다는 것은 21세기에는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인도의 도시화율은 30%라고 합니다. 2050년까지 성장할 가능성이 높은 도시 10위 중 10개 모두 인도의 도시라고 합니다. 그만큼 중산층의 확대와 제조업의 성장이 꾸준히 진행된다면 발전 가능성이 높은 국가입니다. 참고로 중국의 도시화율은 58%, 한국의 도시화율은 81%, 일본의 도시화율은 91%라고 합니다. 인도를 절대 과소평가해서도 안 되고 과대평가해서도 안 됩니다. 인도가 나아가는 방향을 지켜본다면 인도의 성장을 볼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인도를 통해 다양한 금융지식을 배워보았습니다. 국가의 문화와 금융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제,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네수엘라로 배우는 금융지식 두 번째 (0) | 2022.06.26 |
---|---|
베네수엘라로 배우는 금융지식 첫 번째 (0) | 2022.06.25 |
인도로 떠나는 금융지식 여행 첫 번째 (0) | 2022.06.23 |
환율에 대한 이해 (0) | 2022.06.22 |
21세기 필수 금융지식 (0) | 2022.06.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