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20

대한민국 경제 발자취 지금부터 경기 흐름으로 현대 대한민국 경제 역사를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로 1970년대 석유 위기로 맞은 불황입니다. 자본주의 경제는 경기가 순환하면서 찾아오는 불황을 피할 수 없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기 전 세계 최대 규모의 불황이었던 1929년 미국발 대공황은 과잉 생산이 근본 이유였습니다. 대공황은 한창이던 1932~1933년 미국에서 1,300만 명이 넘는 실업자를 낳았습니다. 유럽까지 번져 대형 기업 도산과 실업 사태를 빚으며 10년간 이어지다가 2차 대전이 끝난 뒤에야 마무리되었습니다. 2차 대전 이후에는 유가 인상에 따른 석유 위기로 1973년과 1979년 두 차례 갑작스러운 세계 불황이 왔습니다. 첫 번째 불황은 원유 산지인 중동에서 이스라엘과 아랍국가가 전쟁을 벌이면서 발생했습.. 2022. 7. 9.
국제수지를 알면 금융 전문가 조금 생소할 수 있는 주제인 국제수지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계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국가는 서로 협력해야 합니다. 경제적으로 한 국가의 기업은 생산한 재화를 외국에 수출해 돈을 벌어서 이익을 얻습니다. 기업과 마찬가지로 가계와 정부도 같은 방법으로 돈을 벌곤 합니다. 이러한 경제 주체가 외국을 상대로 거래하는 것을 국제 거래 혹은 국외 거래라고 합니다. 이때 발생한 수입과 지출을 모아 계산한 것이 이번 시간에 알아볼 국제수지(BOP)입니다. 여기서 말한 수지는 수입과 지출을 포괄해 말한 것입니다. 대한민국은 국제 거래가 활발한 나라 중 하나입니다. 대한민국 경제는 국내 수요와 해외수요가 절반씩 이루고 있습니다. 이처럼 국제 거래는 대한민국 경제에서 빠질 수 없는 큰 영역입니다. 국제수지의 종류에 관.. 2022. 7. 7.
경제지표가 어렵지 않은 이유 경제지표라고 하면 거부감이 들 수 있습니다. 경제 공부를 하면서 들어는 봤지만, 익숙하거나 쉽게 이해하고 있지 않은 지식입니다. 이제부터 경제지표에 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경제지표는 경제 현상을 파악해 현재 경제 상황이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 알기 위해 나타낸 일종의 도구입니다. 경제 기사를 읽다 보면 경제지표를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습니다. 가령 IMF에서 대한민국의 경제성장률을 0.3%포인트를 낮추었습니다. 기사의 내용 중 경제성장률이 바로 경제지표입니다. 경제지표를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지수의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면 정보를 받아들이는 쪽에서 사실을 전달받는 데 있어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예로 든 기사의 문장에서 % 포인트가 나왔습니다. % 는 흔히 봤지만 % 포인트.. 2022. 7. 5.
뉴딜 정책이란 무엇인가 지난 경제 대공황 포스팅에 이어 뉴딜 정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929년 발생한 경제 대공황으로 해결사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이때 나타난 해결사는 미국의 차기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입니다. 뉴딜 정책은 1933년~1938년 사이에 경제 침체를 해결하기 위해 만든 정책입니다. 뉴딜 정책은 경제적인 영향뿐 아니라 사회, 정치적인 영향까지 미쳤습니다. 1929년 발생한 끔찍한 경기 침체를 극복하고 현재까지 의심할 여지가 없는 초강대국으로 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정책입니다. 뉴딜 정책을 만든 배경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1929년 10월 24일 미국 주식시장의 폭락으로 인해 경제 대공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당시 미국의 대통령이었던 허버트 후버는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고 경기 침체를 해결하기 위한 .. 2022. 7. 4.